안녕하세요.
루카스 장진민 강사입니다 🙂
이번에는 ‘슬탐생’ 챗봇을 활용하여 통합과학 교과 세특 주제를 한번 생성해봤습니다 🙂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프로젝트 주제: “지역 하천 수질 평가 및 개선 방안 제안”
프로젝트 개요:
학생들은 통합과학 수업에서 배운 수질관리, 물질순환, 생태계 건강성 지표 등을
실제로 적용하기 위해 학교 인근 하천의 수질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팀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과학적 탐구력, 자료 분석 능력, 실천적 문제해결 역량 및
협업 능력을 함양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 활동 단계
기초 조사 및 주제 선정:
학생들은 학교 주변 하천 이름(예: ‘○○천’)을 확인하고,
하천 주변 환경 상태에 대한 기본 정보를 수집합니다.
환경부 환경정보포털(http://www.me.go.kr)에서
해당 하천의 기본 수질 정보(측정망 자료, 수질등급),
인근 오염원(축산폐수, 생활폐수 방류지점) 등
기초 데이터를 확인합니다.
참고 자료:
환경부 발간 『환경백서』 최근호(매년 발간)에서
국내 하천 수질 관리 정책 동향 참고
국립환경과학원 홈페이지(http://www.nier.go.kr) 내
“수질측정망 운영 및 관리 보고서” 검색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연구보고서
예: 『국내 하천 수질 관리 정책 개선 방안 연구』
전문서적: 『현대 수질관리학』(유한욱 외, 동화기술),
『하천생태학』(이상훈, 한울아카데미)

현장 조사 및 시료 채취:
주말이나 방과후 시간을 활용해 팀원들이 실제 하천 현장을 방문합니다.
휴대용 수질 측정기(온라인 구매 가능, pH, 탁도, 용존산소량(DO) 측정 가능) 사용:
대략 pH(6.5~8.5 권장), DO(5mg/L 이상 유지 권장) 등의
기본 수질지표를 측정합니다.
하천 주변 사진 촬영(쓰레기, 비닐 등 오염원), 수온 측정, 흐름 상태 기록.
환경부 고시 ‘하천 수질환경기준’(1~6등급)에 대조하여 현재 수질 상태를 예비 평가합니다.

슬탐생 활용:
슬탐생 검색 기능을 통해 “하천 수질 측정 방법”,
“수질 개선 사례”, “하천 복원 생태공학” 등의
키워드로 추가 자료 탐색 방법을 안내받습니다.
슬탐생 제공 템플릿으로 조사계획서 및 실험 기록 양식을 작성해
실험 과정과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슬탐생이 제안하는 역할 분담 가이드라인을 참고해
‘자료조사팀’, ‘현장조사팀’, ‘결과분석팀’, ‘개선안기획팀’ 등으로
팀원을 분류하고, 일정표를 만들어 체계적인 협업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자료 분석 및 개선 방안 도출:
현장에서 측정한 pH, DO 수치와
환경부 기준을 비교해 수질 상태를 가늠합니다.
인근 지역 주민 혹은 상인 인터뷰를 통해 하천 오염 인식도,
개선 희망사항 수집(이때 짧은 설문지 작성).
해외 사례(예: US EPA나 EU 수질관리 사례)나 KEI 보고서, 『하천생태학』 참고하여
친환경 하천 복원 방안(수변식물 식재, 투수성 포장 확대,
인근 커뮤니티 참여형 쓰레기 수거 활동)을 도출합니다.
슬탐생에서 제안하는 분석 프레임워크(원인-문제-대안 순서)로
개선안을 정리하고, 실행 가능성(재원, 인력, 주민 참여도)까지 간략히 검토합니다.

결과 정리 및 발표 준비:
수집한 데이터, 사진, 주민 의견, 참고 문헌 목록을 토대로 보고서 작성.
수질 측정 결과표, 오염원 사진 비교 전후, 개선 방안 제안서를 PPT로 제작하여
학급 발표나 학내 과학 행사를 통해 공유합니다.
슬탐생을 활용한 프로젝트 활동 일지, 역할 분담표,
개선안 아이디어 리스트를 별도로 정리하여 향후 세특 작성 시 참고합니다.
세특 기재 예시:
“학교 인근 ○○천 수질 개선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국립환경과학원 수질측정망 보고서와 환경부의
하천 수질환경기준을 참조하여 pH, DO 등
기초 수질 데이터 분석을 수행함.
휴대용 측정기 활용을 통해 현장 시료 채취 및
오염원 관찰 기록을 체계화하고,
슬탐생에서 제공한 분석 틀과 해외 사례(KEI 연구보고서, 『하천생태학』 참조)를
바탕으로 식생 복원, 주민참여형 수거 활동 등 현실성 있는 개선안을 마련함.
이 과정에서 과학적 탐구력, 자료 분석 능력, 협업 역량을 발휘하며,
실천적 환경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체득함.”

학부모님께 드리는 말씀:
이런 프로젝트 경험은 단순한 과학 개념 습득을 넘어,
실제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 비판적 사고력, 협력적 태도를 길러줍니다.
자녀가 현장 조사, 공신력 있는 자료 참고(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보고서),
슬탐생 활용을 통해 체계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했다면,
세특에 이 과정을 구체적으로 담아낼 수 있습니다.
이는 고등학교 생활기록부를 통해 학생의
성장 스토리를 명확히 보여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학생들을 위한 조언:
참고한 자료 목록(정부 보고서, 학술도서, 해외 사례),
측정 결과, 역할 분담표 등을 반드시 별도 메모나 전자파일로 정리해두세요.
나중에 세특 작성 시, 어떤 자료를 어떻게 활용했고,
어떤 과정을 거쳐 개선안을 도출했는지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슬탐생의 템플릿이나 가이드를 적극 활용하면
프로젝트 준비부터 마무리까지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결과물을 한층 더 전문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슬탐생을 활용한 통합과학 세특주제를 생성해보았습니다.
슬탐생은 네이버에 슬탐생 검색하셔도 되고,
으로 접속하셔도 됩니다.
모쪼록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다음번 포스팅에서도 통합과학 세특주제를
생성해보는 포스팅을 이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